그래프의 모든 노드를 포함하고, 모든 노드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트리(Tree)의 속성을 만족하는 그래프를 가리킵니다. 예를들어 하단 좌측과 같은 원 그래프의 스패닝 트리는 하단 우측과 같이 총 8개의 스패닝 트리들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번 카테고리의 첫 포스팅은 알고리즘의 주제인 유니온 파인드에 대해서 해볼까 합니다. 유니온 파인드는 Disjoint Set이라고도 불리우며, 이 자료구조는 우리 일상속에서 손쉽게 볼 수 있습니다.
DEVELOPMENT & LIFE LOG
그래프의 모든 노드를 포함하고, 모든 노드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트리(Tree)의 속성을 만족하는 그래프를 가리킵니다. 예를들어 하단 좌측과 같은 원 그래프의 스패닝 트리는 하단 우측과 같이 총 8개의 스패닝 트리들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번 카테고리의 첫 포스팅은 알고리즘의 주제인 유니온 파인드에 대해서 해볼까 합니다. 유니온 파인드는 Disjoint Set이라고도 불리우며, 이 자료구조는 우리 일상속에서 손쉽게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