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가 속한 프로젝트에서는 Apache를 웹서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apache에 들어가있는 configuration에 대해서 알아야 되는데요. 그중에서도 rewrite rule이 있습니다.
[DevOps] Nginx Configuration 정리 안녕하세요?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입니다. 이번시간에는 Nginx의 configuration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필자의 프로젝트에서는 웹서버로 Nginx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Nginx의 configuration의 변경이 매우잦은…
[Linux] Load Average와 시스템 부하 안녕하세요?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입니다. 이번시간에는 리눅스의 Load Average에 대해서 정리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필자의 아는 지인분이 저에게 물어본적이 있습니다.
1 2 3 |
지인 : TOP 명령어를 치고 나오는 Load Average가 뭘 의미하는지 알아요? 필자 : 로드 평균.... 로드가 걸린다....모르겠습니다. |
…
[Linux] top을 통해 살펴보는 프로세스 정보들 안녕하세요?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 입니다. 이번시간부터 이어지는 포스팅들은 리눅스의 기본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그동안 시스템 엔지니어 + DevOps 업무를 진행해…
[DevOps] zsh 설치 방법 (Oh My Zsh 까지..) 안녕하세요?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입니다. 이번시간에는 리눅스 터미널에서 재미난 셋팅에 대해서 몇가지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필자가 2019년 말…
[Rundeck] Rundeck 로그 정리 안녕하세요?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입니다. 이번시간에는 RUNDECK 로그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우선, 로그를 정리하게 된 이유는 어느순간 Rundeck이 엄청나게…
[Zabbix] Zabbix 모니터링 설정 안녕하세요?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입니다. 이번시간에는 대표적인 모니터링 도구로 알려진 Zabbix 모니터링 설정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필자가 속한 프로젝트에서는 Zabbix를 활용하여, 모니터링을…
[DevOps] Chromeless 에서 Puppeteer로의 전환 안녕하세요?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입니다. 이번시간에는 Headless 브라우저를 통하여 웹을 제어 하는 내용에 대해서 소개를 하고자합니다. 필자가 속한 프로젝트에서는 협업툴로 Slack을…
[Docker] Compose 구성과 사용법 안녕하세요?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입니다. 오늘은 docker의 compose구성법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앱컨테이너와 데이터베이스 컨테이너의 실행 순서를 지켜서 실행해야한다고 생각해보세요.…
[Ansible] 앤서블 Jinja2 필터 사용법 안녕하세요?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 입니다. 필자가 갑자기 Ansible을 너무 재밌게 하고 있어서 당분간 Ansible 연재를 계속 할 것 같습니다. 지난시간까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