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입니다. 이번시간에는 ansible을 이용한 nginx config 파일의 배포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필자가 속한 프로젝트에서는 nginx를 Front-end의 export된 html 소스를 서빙하기 위한 용도로…
안녕하세요?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 입니다. 2022년의 첫 포스팅입니다. 그동안 업무로 인해 블로그 정리에 대해서 소홀했던 것 같습니다. 저의 블로그에 방문해주시는 모든 분들 새해복 많이 많이…
[DevOps] Rinetd를 활용한 portforward 안녕하세요?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 입니다. 이번시간에는 Public subnet에있는 Deploy tool을 통해서 Private Subnet에 존재하는 서버들에 대해서 배포를 수행하기 위한 고민을 했던…
필자가 속한 프로젝트에서는 Apache를 웹서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apache에 들어가있는 configuration에 대해서 알아야 되는데요. 그중에서도 rewrite rule이 있습니다.
[DevOps] Nginx Configuration 정리 안녕하세요?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입니다. 이번시간에는 Nginx의 configuration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필자의 프로젝트에서는 웹서버로 Nginx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Nginx의 configuration의 변경이 매우잦은…
[Linux] Load Average와 시스템 부하 안녕하세요?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입니다. 이번시간에는 리눅스의 Load Average에 대해서 정리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필자의 아는 지인분이 저에게 물어본적이 있습니다.
1 2 3 |
지인 : TOP 명령어를 치고 나오는 Load Average가 뭘 의미하는지 알아요? 필자 : 로드 평균.... 로드가 걸린다....모르겠습니다. |
…
[Linux] top을 통해 살펴보는 프로세스 정보들 안녕하세요?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 입니다. 이번시간부터 이어지는 포스팅들은 리눅스의 기본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그동안 시스템 엔지니어 + DevOps 업무를 진행해…
[DevOps] zsh 설치 방법 (Oh My Zsh 까지..) 안녕하세요?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입니다. 이번시간에는 리눅스 터미널에서 재미난 셋팅에 대해서 몇가지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필자가 2019년 말…
[Rundeck] Rundeck 로그 정리 안녕하세요?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입니다. 이번시간에는 RUNDECK 로그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우선, 로그를 정리하게 된 이유는 어느순간 Rundeck이 엄청나게…
[Zabbix] Zabbix 모니터링 설정 안녕하세요? 정리하는 개발자 워니즈입니다. 이번시간에는 대표적인 모니터링 도구로 알려진 Zabbix 모니터링 설정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필자가 속한 프로젝트에서는 Zabbix를 활용하여, 모니터링을…